나그네 놀이터 미러:: 나그네판
처음 50 최근 50 전체 보기
66번 여관
이름없는 나그네
2020-02-19 13:05:33
2020-07-30 03:47:22
0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3:05:33
                | ̄``''- 、
                |      `゙''ー- 、  ________
                |    ,. -‐ ''´ ̄ ̄`ヽ、_        /
                |, - '´ ̄              `ヽ、     /
              /               `ヽ、ヽ   /
             _/                    ヽヽ/
           / / /   /  /  /            ヽハ
          く  / /!   |   〃 _/__ l|   | |   |  |  | | ||ヽ
           \l// / |  /|'´ ∧  ||   | |ー、||  |  | l | ヽ
           //ハ/ |  | ヽ/ ヽ | ヽ  | || /|ヽ/!  |/  |  ヽ
          ノ / |  |ヽ { ,r===、   \| _!V |// //.  .!  |
         (.  | ||  |l |ヽ!'´ ̄`゙   ,  ==ミ、/イ 川\ |─┘
         ノ ノ | ハ|| |l | """ ┌---┐  ` /  / ||  |
        /   ハ | ヽ ト| ヽ、    |     !   /  / | |  |
        /  ノ |  ! ! | .ハ` 、 ヽ、__ノ   イ / | / ハ.  |
    ┌/)/)/)/)/)/)/)/)/)/)lヽ/_` ー‐‐┬ '/ ./  |./ .| |  |
    |(/(/(/(/(/(/(/(/(/(/..| |-'、\ __/`/ .ハ  |  |  |  |
   r'´ ̄ヽ              | |_ ..ゝ.ハ____レ'ヽ、|  | .|  ハ  |
  / . ̄`ア   こ  乗     .| | __..f´}T'ー、、\ レ'  .|  | |\|
  〉  ̄二)   の  っ     .| |_.二 t_j__ヽ.  ''・J \ |  | .|  |
 〈!   ,... -'   ス  取     . | | _/ \\   /   '.,| / |  |
  | \| |.    レ  っ     .| |ノ   │ \ノ     ',. |  |  |
  |   | |        た    _r'---' ̄ ̄[ ``ヽ、        ',  |  |
  |   | |             >-、__    [    ヽ.      入 |  |
  \.| l.            ヽ、.       [     ヽ.____/ | |  |
    ヽ|.        上海   \    r'       ヽ、    | |  |
환영합니다 익명의 나그네[웃음]입니다. 테스트느낌으로 원하는 만큼
마음대로 쓰시길 권장합니다. 주사위 연습이나 묘사연습 색깔확인 명령어 연습도 마음껏합니다.
아무말이나 해도 좋습니다. 나그네판 규칙만 준수합시다.
1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3:09:03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2 이름없는 나그네 ID : c1dc4482
2020-02-19 13:10:54
어우 시작부터 뭐야 이건
3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3:28:40
어두움...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슬픔]
4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4:25:56
red
red
5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4:26:31
Pink
LightPink
6 이름없는 나그네 ID : 6a46edb2
2020-02-19 14:26:49
비슷해![착란]
7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37: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___ ┣━━┫   │
│    ┏━┛┃      ┃┗┛┃              ┃┃       ` ー--   ┃  ┏┫   │
 │   ┗━━┛      ┗━━┛              ┗┛              ┗━┻┛   │
 │                                                   _))  │
 │                                                     ̄   │
 └──────────────────────────────────────┘
너덜너덜해!
8 이름없는 나그네 ID : 74b62f54
2020-02-21 12:38:30
확실히 오른쪽 모서리가 좀 울퉁불퉁한가
9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39:13
합성은 어렵구만~
10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43: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___ ┣━━┫'   │
│    ┏━┛┃      ┃┗┛┃              ┃┃       ` ー--   ┃  ┏┫'   │
 │   ┗━━┛      ┗━━┛              ┗┛              ┗━┻┛'   │
 │                                                   _))  │
 │                                                     ̄   │
 └──────────────────────────────────────┘

''''''''''''를 연타해 보았습니다.'
11 이름없는 나그네 ID : 74b62f54
2020-02-21 12:43:25
흰 네모에 숫자들이 저렇게 있는 게 필요한거?
12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44:42
놀이공원에서 어트랙션타면 도장찍어주잖아요 그겁니다
13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45:13
허난 오린린은 알트+스페이스가 붙여넣기라는것 밖에 몰라!
14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46:14
8에는 8비스므리한 꿈틀대는 숫자를 넣고싶었다...
15 이름없는 나그네 ID : 74b62f54
2020-02-21 12:50:0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까진 됐고, 8에만 저걸 넣으면 되겠네
16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51:36
엄청 빨라!
17 이름없는 나그네 ID : 74b62f54
2020-02-21 12:54:22
Elementary, my dear! (아무말)
18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56:28
난 너덜너덜하게 만드는데 족히 20-30분은 쓴거같은데..
19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2:57:40
익숙하고 오린린 기능도 모르니까 그런거다! 내가 합성을 포기할거라 생각한다면 경기도 오산이다!![한다고는 하지않았다.]
20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3:13:01
에잇 기분이다 8대신 꿈틀거리는 아무 문자를 넣어봐야겠다[주섬주섬]
21 이름없는 나그네 ID : 36edb46f
2020-02-21 13:56:3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__,ハ  /⌒ヽ __         │
│                                                      /  ノ -==彡'_  \     .   │
│                                                      |  >─=ミ _)   )      │
│                                                  / ⌒ヽ Y       ヽ   (__ノ⌒ヽ │
│      ┏━━┓            ┏┓                ┏━━┓  │f廴.ノノ⌒ O。   |     ノ⌒)}  │
│      ┃┏━┛            ┃┃                ┃┏┓┃    乂  ̄|     8   从   _廴彡' │
│      ┃┗━┓            ┃┗━┓            ┗┛┃┃   さ.ィ人        (        \  │
│      ┗━┓┃            ┃┏┓┃                ┃┃        \ !           }  │
│      ┏━┛┃            ┃┗┛┃                ┃┃ , -===ミ.   У ( ̄ > .  「乂_ノ   │
│      ┗━━┛            ┗━━┛                ┗┛ l , =ミヽ    {   ⌒ヽ (}  |     │
│                                              {  乂0メ l   .乂_ノ)_人___ノ)     │
│                                              │
└──────────────────────────────────────────────┘
문...자?
22 이름없는 나그네 ID : 4a79bd8d
2020-02-21 14:00:18
이 르뤼에 이본에나 나올 문자는 뭐지
23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14:02:27
8이요[아무말]
24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16:32:15
웃음
25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19:26:24
.dice 1 100. = 29 BOOK
26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20:00:48
.dice 1 100. = 57 BOOK
27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20:06:05
.dice 1 100. = 61 BOOK
28 살매◆RnBZjhWLm6 ID : 36edb46f
2020-02-21 22:11:03
.dice 1 100. = 61 BOOK
29 이름없는 나그네 ID : cac5c912
2020-02-23 14:38:31
.dice 1 2. = 1
1남자 2여자
30 이름없는 나그네 ID : cac5c912
2020-02-23 16:49:21
.dice 1 100. = 30 = 61
31 이름없는 나그네 ID : cac5c912
2020-02-23 21:24:50

12312<spo>12342131</spo>
32 이름없는 나그네 ID : cac5c912
2020-02-23 21:25:32

           _,. -=-- 、

━━・・━
이 스레의 5144 ......
33 이름없는 나그네 ID : d59c45ef
2020-03-02 15:38:30
<rubyAAA></ruby>
34 이름없는 나그네 ID : d59c45ef
2020-03-02 15:38:36
<rubyAAA> </ruby>
35 이름없는 나그네 ID : d59c45ef
2020-03-02 15:38:53
AAA
36 이름없는 나그네 ID : 101dc94e
2020-03-07 21:38:22
37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0:34:02
드루이드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선한 목적 혹은 그런 사람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 접촉 기능을 사용하고,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토목신의 권능을 자동 습득한다.
그러나 이는 다중 굴림에 해당하기에,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복합 판정으로 한번 성공할 시
토목신의 권능에 서술되어있는 정신력 판정은 굴리지 않아도 되며,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내공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38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0:35:57
드루이드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나온 점수대로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내공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이 있다.
39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0:44:38
드루이드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선한 목적 혹은 그런 사람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 접촉 기능을 사용하고,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토목신의 권능을 자동 습득한다.
그러나 이는 다중 굴림에 해당하기에,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복합 판정으로 한번 성공할 시
토목신의 권능에 서술되어있는 정신력 판정은 굴리지 않아도 되며,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내공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40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1:08:28
드루이드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선한 목적 혹은 그런 사람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 접촉 기능을 사용하고,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토목신의 권능을 자동 습득한다.
그러나 이는 다중 굴림에 해당하기에,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복합 판정으로 한번 성공할 시
토목신의 권능에 서술되어있는 정신력 판정은 굴리지 않아도 되며,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마력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41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1:11:44
드루이드 [일반 크툴루용 / 직업 조건 달성치: 자연 90,동물 다루기 50,오컬트 50]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선한 목적 혹은 그런 사람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 접촉 기능을 사용하고,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토목신의 권능을 자동 습득한다.
그러나 이는 다중 굴림에 해당하기에,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복합 판정으로 한번 성공할 시
토목신의 권능에 서술되어있는 정신력 판정은 굴리지 않아도 되며,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마력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42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2:11:39
드루이드 [일반 크툴루용 / 직업 조건 달성치: 자연 90,동물 다루기 50,오컬트 50입니다.
펄프 크툴루와 일반 크툴루에서 마나를 소모하여 기능을 이용하고,판정을 굴리지 않는다.
드루이드를 직업으로 달 경우 자동차 운전과 중장비조작은 뜻에 반하기에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 지구에 있는 대지의 힘을 마력으로 흡수하는 기능.
이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연 기능치가 50 이상이어야 하며 그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마력을 자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건 수호자가 탐사자가 자연 충전하겠다고
행동을 선언했을 경우, 수호자가 판단하여 가능하다고 할 때 자연 충전을 할 수 있다.

자연 충전을 할 경우 마력을 1d5씩 충전이 가능하며, 자연 충전의 횟수 제한은 없다.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접촉하여 대화하는 기능.
기본 목적은 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나,이 기능을 이용해 힘을 빌려달라고 조건을 걸 경우
지구를 지킨다는 선한 목적을 가졌거나 선한 사람이 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 없이 대지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선한 목적 혹은 그런 사람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3의 이성치를 감소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의 기 [土木神氣]」가 있다. 토목신의 기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다.

토목신 접촉 기능을 사용하고,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토목신의 권능을 자동 습득한다.
그러나 이는 다중 굴림에 해당하기에, 힘을 빌려달라고 했을 경우 복합 판정으로 한번 성공할 시
토목신의 권능에 서술되어있는 정신력 판정은 굴리지 않아도 되며,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토목신의 권능 [土木神權能]: 지구에 있는 대지와 연결하여 힘을 사용하는 기능.
사악한 자들과 악한 존재들과 결탁하여 지구를 없앨려고 하는 존재들에게 맞서기 위해
대지는 믿을만 하면서 지구를 지키고, 선한 목적을 가지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대지의 정신과 접촉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힘을 빌려주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선제 기능의 경우 「토목신 접촉 [土木神接觸]」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 1을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해서 정신력 판정에 실패해버리면 이성치 1D5씩 감소해버리는 점이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오게 되면 대지와 공생하게 되면서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붙는다.

[예시: 자연을 파괴하는 RP는 금지되며 동식물들을 소중히 하는 RP가 강제되는 점이 있다]
토목신의 권능 기능을 습득하게 되면 토목신이 현세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에 영향을 끼치며 이후에 서술되는 기능들은 권능을 선제조건으로 한다.

토목신의 주먹 [土木神拳]: 지구에 있는 대지의 주먹으로 상대방을 격파하는 기능.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흙이 있는 곳이며, 모래에서도 소환할 수 있긴 있으나 담당 분야가 아니기에
흙에서 소환했을 때보다 대미지는 적게 들어간다고 한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토목신의 주먹이 땅에서부터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에게 주먹으로 강력한 일격을 먹인다.
이 강력한 일격이 제대로 맞았을 경우 [대성공이나 극단적 성공] 대미지는 1D30을 5번 굴린다.
그러나 일격이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일반 성공이나 실패] 대미지는 1D10을 3번 굴린다.

일격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을 경우 [대실패]는 맞추지 못한 것으로 대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토목신의 주먹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모해야 하는 마력의 경우는 1D10을 주사위로 굴려서 소모한다.

토목신의 치유 [土木神治癒]: 사악한 무리들이 사용하는 주문에 대항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능.
『용해의 의식』과는 정반대이며,아무리 강력한 일격을 먹었다고 한들 살아있으면 이 기능을 사용해서
치유하거나, 어떤 부위의 살이 녹아내린다면 그 것에 반대하여 살을 복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마력이 소모되며, 거기에 정신력 판정까지 굴려야 한다.

정신력 판정에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고 많은 마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자비롭게 끝나지만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할 경우, 강철의 정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이성 1D5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마력 소모의 기준은 다른 마력들의 소모보다는 다르게 마력을 10점 소모해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토목신의 치유로 회복되는 것은 대성공을 낼 경우 1D100,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50,
일반적인 성공을 낼 경우에는 1D30, 실패를 낼 경우에는 1D10, 대실패를 낼 경우에는 1D3씩 치료된다.

토목신의 대경계진 [土木神大境界陣]: 물리적인 파괴 행사를 방해하는 경계진을 만드는 기능이다.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며 범위는 물리적인 힘을 막아내는 정도에 해당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마법적인 힘까지는 막아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이성 1D10점을 소모해 막아낼 수 있다.

이 기능의 시전 시간은 총 1분을 소모하면서, 토목신의 대경계진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소모되는 마력은 1D20 점이며, 주사위로 굴려야 한다. [주사위 예시: .dice 10 25]

정령소환 [土木神精靈召喚]: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지가 부리는 하위격의 소환수 혹은 사역마를 불러내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성공하면 이성치는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력 판정을 굴리고 실패하면 이성치는 1D3점을 주사위로 굴려서 나온 점수대로 소모한다.
소모 마력의 점수는 5점을 소모하는 것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인에게 반역하지 않는다.
소환수 혹은 사역마들의 생김새는 인간형이거나 원소형,슬라임 같은 계열으로 현실에 나타날 수 있다.
43 이름없는 나그네 ID : 1538b472
2020-03-08 22:51:53
이 스레의 42

대지의 보호 [大地保護]: 물리적인 공격으로부터 대지의 힘을 빌려 몸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시전 대상은 본인이나 본인이 아닌 타인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마력을 5점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정한 대상에게 장갑 10점을 확정으로 생기게 한다. 그리고 대지의 장갑은 물리적인 공격을

받으면 예를 들어 장갑 10점이 4점의 공격을 맞으면 6점으로 줄어드는 원리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시전 시간은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정신력 판정에서 성공할 경우 이성치 감소는 없다.
그러나 언제나와 같이 정신력 판정에서 실패한다면 1D4점을 나온대로 이성치를 감소해야 한다.

대지의 속박 [大地束縛]: 지구에 있는 대지와 정신을 연결하여 권능을 부리는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토목신의 주먹과 동일하게 흙에서 손이 튀어나와 지정한 상대방을 향하지만
일격을 먹이는 것과는 다르게 상대방을 속박한다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시전 시간은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소모하는 마력은 1D4점, 주사위를 굴려서 나온 점수만큼 소모한다.
이 대지의 속박 기능은 1D5+5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주문의 사용을 막는 효과가 있다.
대지의 속박을 받는 상대방은 시간 [라운드]가 지나면 지날수록 1D5만큼 데미지를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산림의 숨결 [(山林呼吸]: 대지의 힘을 일정 이상 구역 [이는 탐사자가 RP로
어디어디까지 구현할 것인지 구체적인 표현이 필요]에 구현화하는 기능입니다.
대지의 힘이 구현화된 구역에 있는 탐사자들은 체력과 마력이 회복되며

전원 정신력 판정 주사위를 굴려서 대성공과 극단적인 성공을 낼 경우 이성을 1D5점 회복합니다.
시전 시간은 3라운드가 필요하면서, 지속 시간은 1D5를 굴려서 나온 라운드동안 지속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드루이드인 탐사자가 소모하는 마력은 5점이며,정신력 판정을 굴려서

성공하면 이성치 감소는 없습니다,실패할 경우 이성치는 1D3을 굴려서 나온대로 소모합니다.
44 이름없는 나그네 ID : 81bd3bf7
2020-03-14 10:47:39
Khaki
45 %◆P3gWuga57o ID : 81bd3bf7
2020-03-14 11:19:38
1
46 !@◆KvOCOKjkNc ID : 81bd3bf7
2020-03-14 11:19:57
2
47 !@$%^&*()◆fUIW3d6fwQ ID : 81bd3bf7
2020-03-14 11:20:13
3
48 이름없는 나그네 ID : 81bd3bf7
2020-03-14 12:41:37
.dice 1 100. = 94
49 이름없는 나그네 ID : eea99f8c
2020-03-16 23:27:26
가나다

가나다
50 이름없는 나그네 ID : eea99f8c
2020-03-16 23:27:39
가나다
51 이름없는 나그네 ID : eea99f8c
2020-03-16 23:28:08
<CLR BLACK RED>가나다</CLR>
52 이름없는 나그네 ID : eea99f8c
2020-03-16 23:33:37
가나다
53 이름없는 나그네 ID : eea99f8c
2020-03-16 23:33:48
가나다
54 이름없는 나그네 ID : 2262b508
2020-03-19 12:28:36
골목의 그림자가 갑자기 일어나지 않았다면 말이죠.
55 이름없는 나그네 ID : 2262b508
2020-03-19 12:28:54
골목의 그림자가 갑자기 일어나지 않았다면 말이죠.
56 이름없는 나그네 ID : 2262b508
2020-03-19 12:29:03
골목의 그림자가 갑자기 일어나지 않았다면 말이죠.
57 이름없는 나그네 ID : d759bd85
2020-03-24 18:07:46
가나다
58 이름없는 나그네 ID : f343bca2
2020-03-25 02:39:51
.dice 1 7. = 6
59 이름없는 나그네 ID : f343bca2
2020-03-25 02:41:13
.dice 1 7. = 3
60 이름없는 나그네 ID : a0981d9d
2020-03-26 01:07:53
당신의 뒤에서 뜨듯하면서도 미지근한 것이 흘러나오는 것임을 알아챕니다
61 이름없는 나그네 ID : dcc72490
2020-03-29 15:30:31
놈이랑 나 말고도 더 있다고...?
62 이름없는 나그네 ID : d0836702
2020-04-03 08:50:35
이 스레의 61 『아아 파트너』
63 이름없는 나그네 ID : 8459090b
2020-04-04 20:54:37
행운한조각
64 이름없는 나그네 ID : 8459090b
2020-04-04 21:41:19
(가나다.
가나다
가나다.....라)
65 이름없는 나그네 ID : 665be473
2020-04-05 00:04:28
darkviolet
66 이름없는 나그네 ID : 29f85174
2020-04-12 20:03:32
가나다
67 이름없는 나그네 ID : a200063f
2020-07-20 18:12:51
.dice 1 6. = 1
.dice 1 6. = 1
.dice 1 6. = 6
68 이름없는 나그네 ID : 59a43182
2020-07-30 03:23:09
          \ \   \ \                                     ノ ./_、‐''゛. . ._、‐''゛. . . . . ノ
                -\-ヘ \ \                                /)///. . ._、‐''゛. . .''^~ ̄._/
              )ハ\ \. \ \ ト                              / ///._、‐''゛/. . .─==ニ ̄. . . . .
                  {\ ̄\ ~"''~ ,,_V}.ハ                            /)ノ. ../_、‐''゛ ̄./. . . . . .─==ニ ̄(
                  {\\ -ヘ(\ヘヘ }/∧                       /. . ../. . ./). ./-=ニ ̄. . . . . -=ニ^~ ̄
                 入 \Y(\). \\ハ  \                        // . /''^~ ̄//. . . .─==ニ ̄~^'' ̄~^''. .
             {V/>   (\(\(\)ハ∧\ ハ                      /. / /ノ(. . ./-=ニ ̄). . ̄~"''~ ,,_. . . . . . . .
             ト V/\ (\(\(\ \.∧ /∧ノ}                /. /-ニ ̄ . /. . ./ ̄~"''~ ,,_. . . . . .> ̄ ̄ ̄
             r{  V/ \\(\(\(\)ハ}ヘ /∧}              //. /// / ̄./>─==ニ ̄/ ̄
             Ⅵ  V/( ̄\(\(\ヘヘ八/ハ /∧               //. / ./)/. . .//(_. ._.ニ=-  ´
             Ⅵ\V/\(\(\ヘ>-<∧. } /ハ     _,,、、     //. //./)Y/(. .// ̄/
    _        Ⅵ \\(\(\辷{    \V/  .}   _ <(<⌒    // /. . . .辷ノ)/)/ .../(_
 ──ヘ\  (\)\-ヘ  -=ニ ̄_彡辷     \  } _彡i:/i:i:i)ハi:\  .{. . ./^Y. .辷辷/). ./. ̄/
 ̄~"''~ ,,_ \(\(\(\ヘ>   _彡辷辷、      \ノ ⌒Yi:-=彡ノ}i:Yハ. Lノ   .} ノ辷辷<(/_、‐''゛                   /
       ~"''~ ,,_ .\(\ヘヘ /(\( 辷\       _-ノ八乂(rッ}八      ./辷辷 //)           /}   /: :
 ̄~"''~ ,,_(\-ヘ\~"''~ ,,_(\\.._彡辷辷\     (⌒込 ' ノ)\  ./辷辷 ./辷彡          /: /   //: : :
\: . .丶\: \\~"''~ ,,_ ̄ニ=-.\)\_彡辷辷\ヘ/<:)、\(ぅ爪-ニ ̄ ノヘ<辷辷辷彡辷彡   _、‐''゛/   ./: /-=彡 / : /
:.:.:\.:. : \\ ̄ニ=-.:.:.:\~"''~ ,,_: \  _彡辷辷./=- /}]=- ̄Y -=彡Y -=ニ 辷辷彡辷彡 -=ニ ̄/:/ ./-=ニ ̄/: :./:/: : :
~"''~ ,,_:.:. \\丶 ̄~"''~ ,,_丶\\ハ-ヘ. _彡辷{=- /ノ{ニ=- ̄ ̄-={八 -=ニ>辷彡
-=ニ ̄: : : :./ : /./: : : : : :/: : : /: : :/
\:.:.:.:.:.:.:~"''~ ,,_:.:\-=ニ_:.:.\\\丶:.:.:.)ハ-ヘ 〈-=彡八ニ=-  -=ニ八_≧=-ヘニ ̄: : : :/: : /_ -=ニ ̄ : : -=彡://: : :/: : :
 ̄~"''~ ,,_.:.:.:.:.: ̄ニ==─.:.: ̄ニ=-:\辷辷ノハハ}V/ノi:\ノV/=-\/-=ニ/^\i:i:i:i:i)、: : :./: -=彡: : :.─==ニ ̄///: : :/_、‐''゛
~"''~ ,,_.: ̄ニ==─\\\ ̄ニ=- \)Y__彡辷八}´i:i:i:/=-)ニ=- :Y: -=ニ(-ヘ :\i:i: ̄\ニ==─<(-=ニ ̄: :.////: :_、‐''゛: : : : :
ニ=-.:.:.: ̄ニ==─ ̄ ̄~"''~ ,,_:>\ ̄ニ=- -彡ノi:i:Y - Yヘv=- :|: -=ノノ/⌒ __\i:i:i:i:i:\    V//: ://: : : //_: : : _、‐''゛
.:.:.:.:.:.:.:.:/ ̄ ̄~"''~ ,,_-=ニ ̄// ̄ニ=- ニ-/i:i:i:i/=- 〈\ \\.|//⌒>-=ニ ̄: ~''<i:i:i>ヘ  .}//:-ヘ< ̄> ̄ : : : /(
 ̄~"''~ ,,__ニ==─/.:.:. -=彡//ニ=- ヘ_{./i:i:i:/ _-ニ ̄Yヘ.:≧=≦<ヘ〔=- \:_r< ̄ ̄/<⌒\ニ==─ノ ̄: : : : -=彡/

 V∧       ̄ ̄/( ̄i:)/i:i:i:i:iミ\i:i /i:i/_ -=ニV/>- -<\ハニ=- \ ̄V/)r「「「入  ̄/: :/: : : : : : :ニ=-
\.V∧       ./(.トV\i:i:i:i:iV/i:i:i:i\i:/vi:{ /ニ=-/ ─==ニノ^\_.:.:.V〉 -=ニ: \ ̄  ̄ _ -=ニ ̄/: : : : _、‐''゛
i:i:i\i:∧      (: : :..|i:i:iV/}i:i:i:i:iV/i:i:i\/vi:}{/ニ=-/\ ̄ニ=-  -彡)Y\: ̄ ̄\\_) \i:i/: : : : : : : : _、‐''゛i:i:\
i:i:i:i:i:\i:\   __  ̄\v/i:\i:i:i:i:i:V/i:i:i:/{ { yノニ=-< ̄ニ=-    /i:}  ̄\ハ}: )ノハ ./: : : : : : _、‐''゛i:i:i:i:i:i:i:i:i:i:\
V/i:i:i:i:i\i:\ヘ  )>{\ V/i:i:i:\i:i:i:V/i:i{ /ノハ Y ̄ニ=-/ ./{i:i:/   ( ..}V/ }.:.}:i:i:i:i:i:i/:i:i:i:i:i:i:i:i\:i:i\Y^
. V/i:i:i:i:i:i:\i:\\. V/\vi:i:i:i:i:i\i:i\i{ /// / | ./)/i:i:i:i:i:{ }i/  「 ̄ニ=-.V/ /\_/i:i:i:/i:i:i:i:i:i:i:i:\i:i:i\i:i:)}
\V/i:i:i:i:i:i:i:i\i:\\ V/i:i\i:i:i:i:i:i:i:\i八 . . :/ / .ノ/ / V/i:i:i:i{ {i:) ./}〉i:i:i:i:i:i:i:i:i:i: ̄ニ=- -彡i:i:i:i:i:i:i:i:i:i:i:i:i\i:i:i)i八
  \i:i:i:i:i:i:i:i:i:i:i\i:\\v/i:i:i\i:i:i:i:i:i:i:i:i/ハ  / / ./{( . : : V/i:i:i:{ {./i:i:i}: : \i:i:i:i:i:i:i:i:i:i:i:i:\i:i:i:i:>-i:i:i:i:i:i\i:i:i\i(⌒
   \\i:i:i:i:i:i:i:i\i:\\i:i:i:i:i:}V/i:i:i:i:i:i\} { ./   /⌒ヽY.}i:i:i:i:i{ }i:i:i:i:i:/: . .  \i:i:i:i:i:i:i:i:i:i:i:i\i:i:\i:i:〕iト:i:i:i:\:i:i八
     \\i:i:i:i:i:i:i:i\i:\〕iト:i:i:i:V/:i:i:i:i:i/ハ  .{ . . :/   }.} }rヘi:}{i-ヘi:{⌒\: . . .\i:i:i:i:i:i:i:i:i:i:i:i\i:i:\i:i:i:i:i:i〕iト\:i:)

        -ニi:i:i:i:i:\i:\i:-ヘi:i:〕iト:i:i:i:i:i:i:/ハ  { . :/     .{Ⅵi:ハyV/i:}{.   )>: . / \i:i:i:i:i:i:i:i:i:i:i:\i:i:\i:i:i:i:i:i:i:i:〕iト
         -ニi:i:i:\i:\i:i:i:〕iトi:i:i:\トヘハ 八./   .// /V//- -=ニ   (_./ / . .\i:i:i:i:i:i:i:i:i:i:i:\i:i:i〕iトi:i:i:i:i:i:i:i:i\
          / -ニi:i\i:\i:i:i:i:i:i:〕iト\i:i:i:\/     // V/ -:{=- -=ニ    ./ /{     -ニi:i:i:i:i:i:i:i:i:i〕iトi:i:i:i:i:i:i:〕iト:i:i:i\
        /  . . . : :-ニi:i:i:i:i:i:i:i:i:\i:i:i:i\i:i:i:\  //.  V/-:}- -=ニ′   ./   }/⌒\   -ニi:i:i:i:i:i:i:i:i:i:i:i:〕iトi:i:i:i:i:i:i:i:〕iト:
          {  . . : : / . : -ニ:i:i:i:i:i:i:i\:i:i:i:i:i:i:i/∧.//.     V/-}- -=/  //   .ノ.    \   -\i:i:i:i:i:i:i:i:i:i:i:i:i:〕iトi:i:i:i:i: ̄ニ=-
.        八 . . : :/ . . /   -ニ:i:i:i:i:i:i:i:i:i:i:i:i:i/∧.      }=-}- -/ ./ ./   /      \ /⌒  -=ニi:i:i:i:i:i:i:i:i:i:i:〕iトi:i:i:i:i:
          ̄ {  . . /        ニ==─ i:i:i:i:}     {:-〈- ./} {  ./ /          )/         ─==ニ:i:i:i:i:i:i:i:i
            { . . ./   _)>ヘ ̄_、‐''゛  ̄ ̄       〉 /-=/ .{ /./                          ̄ ̄ ̄

               V/ {    ̄ ̄ ̄              .{-.{V/{ .{ /
                V/{             ─==ニ三三三V/ -=}(三ニ==─
                            ─==ニ三三三三三 -=ニ{三三三三ニ==─
               )}           ─==ニ三三三三/ -=ニ{三三三ニ==─
                           ─==ニ三三三{ -=ニノ三三ニ==─
                               ─==ニ三三≧≦三ニ==─
69 이름없는 나그네 ID : 59a43182
2020-07-30 03:31:14
          \ \   \ \                                     ノ ./_、‐''゛. . ._、‐''゛. . . . . ノ
                -\-ヘ \ \                                /)///. . ._、‐''゛. . .''^~ ̄._/
              )ハ\ \. \ \ ト                              / ///._、‐''゛/. . .─==ニ ̄. . . . .
                  {\ ̄\ ~"''~ ,,_V}.ハ                            /)ノ. ../_、‐''゛ ̄./. . . . . .─==ニ ̄(
                  {\\ -ヘ(\ヘヘ }/∧                       /. . ../. . ./). ./-=ニ ̄. . . . . -=ニ^~ ̄
                 入 \Y(\). \\ハ  \                        // . /''^~ ̄//. . . .─==ニ ̄~^'' ̄~^''. .
             {V/>   (\(\(\)ハ∧\ ハ                      /. / /ノ(. . ./-=ニ ̄). . ̄~"''~ ,,_. . . . . . . .
             ト V/\ (\(\(\ \.∧ /∧ノ}                /. /-ニ ̄ . /. . ./ ̄~"''~ ,,_. . . . . .> ̄ ̄ ̄
             r{  V/ \\(\(\(\)ハ}ヘ /∧}              //. /// / ̄./>─==ニ ̄/ ̄
             Ⅵ  V/( ̄\(\(\ヘヘ八/ハ /∧               //. / ./)/. . .//(_. ._.ニ=-  ´
             Ⅵ\V/\(\(\ヘ>-<∧. } /ハ     _,,、、     //. //./)Y/(. .// ̄/
    _        Ⅵ \\(\(\辷{    \V/  .}   _ <(<⌒    // /. . . .辷ノ)/)/ .../(_
 ──ヘ\  (\)\-ヘ  -=ニ ̄_彡辷     \  } _彡i:/i:i:i)ハi:\  .{. . ./^Y. .辷辷/). ./. ̄/
 ̄~"''~ ,,_ \(\(\(\ヘ>   _彡辷辷、      \ノ ⌒Yi:-=彡ノ}i:Yハ. Lノ   .} ノ辷辷<(/_、‐''゛                   /
       ~"''~ ,,_ .\(\ヘヘ /(\( 辷\       _-ノ八乂(rッ}八      ./辷辷 //)           /}   /: :
 ̄~"''~ ,,_(\-ヘ\~"''~ ,,_(\\.._彡辷辷\     (⌒込 ' ノ)\  ./辷辷 ./辷彡          /: /   //: : :
\: . .丶\: \\~"''~ ,,_ ̄ニ=-.\)\_彡辷辷\ヘ/<:)、\(ぅ爪-ニ ̄ ノヘ<辷辷辷彡辷彡   _、‐''゛/   ./: /-=彡 / : /
:.:.:\.:. : \\ ̄ニ=-.:.:.:\~"''~ ,,_: \  _彡辷辷./=- /}]=- ̄Y -=彡Y -=ニ 辷辷彡辷彡 -=ニ ̄/:/ ./-=ニ ̄/: :./:/: : :
~"''~ ,,_:.:. \\丶 ̄~"''~ ,,_丶\\ハ-ヘ. _彡辷{=- /ノ{ニ=- ̄ ̄-={八 -=ニ>辷彡
-=ニ ̄: : : :./ : /./: : : : : :/: : : /: : :/
\:.:.:.:.:.:.:~"''~ ,,_:.:\-=ニ_:.:.\\\丶:.:.:.)ハ-ヘ 〈-=彡八ニ=-  -=ニ八_≧=-ヘニ ̄: : : :/: : /_ -=ニ ̄ : : -=彡://: : :/: : :
 ̄~"''~ ,,_.:.:.:.:.: ̄ニ==─.:.: ̄ニ=-:\辷辷ノハハ}V/ノi:\ノV/=-\/-=ニ/^\i:i:i:i:i)、: : :./: -=彡: : :.─==ニ ̄///: : :/_、‐''゛
~"''~ ,,_.: ̄ニ==─\\\ ̄ニ=- \)Y__彡辷八}´i:i:i:/=-)ニ=- :Y: -=ニ(-ヘ :\i:i: ̄\ニ==─<(-=ニ ̄: :.////: :_、‐''゛: : : : :
ニ=-.:.:.: ̄ニ==─ ̄ ̄~"''~ ,,_:>\ ̄ニ=- -彡ノi:i:Y - Yヘv=- :|: -=ノノ/⌒ __\i:i:i:i:i:\    V//: ://: : : //_: : : _、‐''゛
.:.:.:.:.:.:.:.:/ ̄ ̄~"''~ ,,_-=ニ ̄// ̄ニ=- ニ-/i:i:i:i/=- 〈\ \\.|//⌒>-=ニ ̄: ~''<i:i:i>ヘ  .}//:-ヘ< ̄> ̄ : : : /(
 ̄~"''~ ,,__ニ==─/.:.:. -=彡//ニ=- ヘ_{./i:i:i:/ _-ニ ̄Yヘ.:≧=≦<ヘ〔=- \:_r< ̄ ̄/<⌒\ニ==─ノ ̄: : : : -=彡/

 V∧       ̄ ̄/( ̄i:)/i:i:i:i:iミ\i:i /i:i/_ -=ニV/>- -<\ハニ=- \ ̄V/)r「「「入  ̄/: :/: : : : : : :ニ=-
\.V∧       ./(.トV\i:i:i:i:iV/i:i:i:i\i:/vi:{ /ニ=-/ ─==ニノ^\_.:.:.V〉 -=ニ: \ ̄  ̄ _ -=ニ ̄/: : : : _、‐''゛
i:i:i\i:∧      (: : :..|i:i:iV/}i:i:i:i:iV/i:i:i\/vi:}{/ニ=-/\ ̄ニ=-  -彡)Y\: ̄ ̄\\_) \i:i/: : : : : : : : _、‐''゛i:i:\
i:i:i:i:i:\i:\   __  ̄\v/i:\i:i:i:i:i:V/i:i:i:/{ { yノニ=-< ̄ニ=-    /i:}  ̄\ハ}: )ノハ ./: : : : : : _、‐''゛i:i:i:i:i:i:i:i:i:i:\
V/i:i:i:i:i\i:\ヘ  )>{\ V/i:i:i:\i:i:i:V/i:i{ /ノハ Y ̄ニ=-/ ./{i:i:/   ( ..}V/ }.:.}:i:i:i:i:i:i/:i:i:i:i:i:i:i:i\:i:i\Y^
. V/i:i:i:i:i:i:\i:\\. V/\vi:i:i:i:i:i\i:i\i{ /// / | ./)/i:i:i:i:i:{ }i/  「 ̄ニ=-.V/ /\_/i:i:i:/i:i:i:i:i:i:i:i:\i:i:i\i:i:)}
\V/i:i:i:i:i:i:i:i\i:\\ V/i:i\i:i:i:i:i:i:i:\i八 . . :/ / .ノ/ / V/i:i:i:i{ {i:) ./}〉i:i:i:i:i:i:i:i:i:i: ̄ニ=- -彡i:i:i:i:i:i:i:i:i:i:i:i:i\i:i:i)i八
  \i:i:i:i:i:i:i:i:i:i:i\i:\\v/i:i:i\i:i:i:i:i:i:i:i:i/ハ  / / ./{( . : : V/i:i:i:{ {./i:i:i}: : \i:i:i:i:i:i:i:i:i:i:i:i:\i:i:i:i:>-i:i:i:i:i:i\i:i:i\i(⌒
   \\i:i:i:i:i:i:i:i\i:\\i:i:i:i:i:}V/i:i:i:i:i:i\} { ./   /⌒ヽY.}i:i:i:i:i{ }i:i:i:i:i:/: . .  \i:i:i:i:i:i:i:i:i:i:i:i\i:i:\i:i:〕iト:i:i:i:\:i:i八
     \\i:i:i:i:i:i:i:i\i:\〕iト:i:i:i:V/:i:i:i:i:i/ハ  .{ . . :/   }.} }rヘi:}{i-ヘi:{⌒\: . . .\i:i:i:i:i:i:i:i:i:i:i:i\i:i:\i:i:i:i:i:i〕iト\:i:)

        -ニi:i:i:i:i:\i:\i:-ヘi:i:〕iト:i:i:i:i:i:i:/ハ  { . :/     .{Ⅵi:ハyV/i:}{.   )>: . / \i:i:i:i:i:i:i:i:i:i:i:\i:i:\i:i:i:i:i:i:i:i:〕iト
         -ニi:i:i:\i:\i:i:i:〕iトi:i:i:\トヘハ 八./   .// /V//- -=ニ   (_./ / . .\i:i:i:i:i:i:i:i:i:i:i:\i:i:i〕iトi:i:i:i:i:i:i:i:i\
          / -ニi:i\i:\i:i:i:i:i:i:〕iト\i:i:i:\/     // V/ -:{=- -=ニ    ./ /{     -ニi:i:i:i:i:i:i:i:i:i〕iトi:i:i:i:i:i:i:〕iト:i:i:i\
        /  . . . : :-ニi:i:i:i:i:i:i:i:i:\i:i:i:i\i:i:i:\  //.  V/-:}- -=ニ′   ./   }/⌒\   -ニi:i:i:i:i:i:i:i:i:i:i:i:〕iトi:i:i:i:i:i:i:i:〕iト:
          {  . . : : / . : -ニ:i:i:i:i:i:i:i\:i:i:i:i:i:i:i/∧.//.     V/-}- -=/  //   .ノ.    \   -\i:i:i:i:i:i:i:i:i:i:i:i:i:〕iトi:i:i:i:i: ̄ニ=-
.        八 . . : :/ . . /   -ニ:i:i:i:i:i:i:i:i:i:i:i:i:i/∧.      }=-}- -/ ./ ./   /      \ /⌒  -=ニi:i:i:i:i:i:i:i:i:i:i:〕iトi:i:i:i:i:
          ̄ {  . . /        ニ==─ i:i:i:i:}     {:-〈- ./} {  ./ /          )/         ─==ニ:i:i:i:i:i:i:i:i
            { . . ./   _)>ヘ ̄_、‐''゛  ̄ ̄       〉 /-=/ .{ /./                          ̄ ̄ ̄

               V/ {    ̄ ̄ ̄              .{-.{V/{ .{ /
                V/{             ─==ニ三三三V/ -=}(三ニ==─
                            ─==ニ三三三三三 -=ニ{三三三三ニ==─
               )}           ─==ニ三三三三/ -=ニ{三三三ニ==─
                           ─==ニ三三三{ -=ニノ三三ニ==─
                               ─==ニ三三≧≦三ニ==─

콘솔에 aa를 쳐야 하는구나.
70 이름없는 나그네 ID : 59a43182
2020-07-30 03:46:09
                              厶斗            斗r七さアファ
                         /ixix/        、丶`ixixixixixア゚

                     /i       ./ixixix/       .‐''"´ixixixixixixア
                    /ixij{..   _、rf〔ixixixixi{    .,/;;;;;;;;;;;ixixixixixiア____
                 /ixixij{  ,ィ'   .イ斗r七_,.、-‐''´;;;;;;ixixixixixixixixixixixixi/ _、‐ァ.  ,,.
              _、/ixixixi,ィ'ji///ix{斗r7フ   〕h。,,,,,,,,;;;;;;;;;;;;ixixixixixixiア゚. イ厶斗匕´ixi
     .___.ハィi./}/ヒ'ixij{ixi/ixixix{_、rf〔/⌒>~'´~'´ ̄ア ̄ア ̄ア ̄ア/ixixixixixixi/
   . ,ィixixixixix厶イノレ'ixijI斗fァ7ア刀ァ'´,,;ゝマ、____.,,,;;;;ア;;;;ア;;;;ア;;;;ア;;;;ァixixixixixixiア゚_
   /ix,ィ'r‐ァixixr七ァ7,.gi鑾'>> ,,,,;;;;;;ァァメ;;ゝマ;;;;;>ix才,,;;;,ィ';,;,ィ'´;;;ィ'´;;;ィ'._、.ィ'´ixixixixア゚__/
    |ixixi..|/ixixiノixixix,ィ'´```'´,,;ァ.;;;;;>,,,,;;;;ゝ,,,,;;;>;;;〉;;/;;;;/jI斗r七さア ̄./ァixixix(. ,ィ'_/⌒
.    Vixix|xixix(ixixi,ィ''ム,,,,,,,,,;;;;;;;;;;;;;;;;;;;ゝ;;ゝ,,;;ゝixi(i(xi,ィ'/アア     .,ィ'ア,,,,;;;;(ixixixixi}h。、⌒>
    V/ixix/.V{ハハ/寸`~V‘,../V`'マ,,,;;;ア7ァ。、.\;;,ィァア    ,,,,,ィ'ア,,,,;;;;;;;;`゙'マjI斗fセチ⌒>
..    \ix/:::::::::::::::::::::::::::::::::::::V::::::.V ',   `"~ ,,`~      ,,,,,;;;;;;,ィ'ア/⌒> ̄~^>  _、‐''゛ /
      `'Vv`'r‐ァ::::::::::::::::::::::::::::::>―',    ァ'´⌒ ヽ`'マ;;;;;;;,ィ'ア`'マ ̄~^''、 / ̄ ̄ ̄\
           .VV⌒\:::::::::_、''゛  ......|  .,ィ'´>.   >`'マ )ツ⌒ ;;;;;;;;;',_/ixixico。。.,,.  /
              \...`'マ/   ...',\|.、r´ _γ⌒ ヽ/∧)ixii\`~"'`' 、\ixixixixixixiニ=-
             ‘,..ソ     .ハ.',ノ √/ /      } )`'マ_;\;;;;;;;;;;~'jト"´´ ̄ ̄''<
             _У  .,ィ.. |. ',.  √/ノ'        .イixixixixi{;;;;;;;;;;;;;;;;;;;;;;;~''<    _、‐
                 /   /.{\|ノ.  √/    _,,..ィ'フ|::',ixixixix\___;;;;;;;;;;;;;;;;~''<
            _./  ../.{\ノ. .,ィ'´rー/ィ7,ィ'´jI斗r' 」:::}ixixixixixixixixix);;;;;;;;;;;;;;;;;;;;;;;;`'マ
             _\乂_{\|..ノ. .丿.√ /7⌒>':::/::ゝ::::/ixア゚マixixixixixム___;;;;;;;;;;;;;;''''
              \_ゝ-ト.ハ.ノ  ,ィ'  √/⌒>'::::/:::/::/'^~ゝ:::ゝ )ixixixixixixixixixi);;;;;;;;,ィ'
               \ノV. V_丿  √//ゝ::>'::::(::::(::::::/:/::::/ixixixixixixixixixi`'、;;;ィ'
                 ーく  ..⌒`' 、/',./ヒ''゛マ:::::>':::>'::::(::::(:::(::厶斗匕⌒ヽixixixixixix);/
                  V/ ,,.、,...ァ'Vix,ィ'.゛  `'マ-ミ::>'::::>':::>'::::>':::::>':::(::',ixixixixi./
                     V''゛ixiVixix/.         `'ママ、_(、_(、_(:::::::::>ノixixixi/
                  |ixix/.j{ixi7                 ⌒ヽ、_(/ixixiア
                  |ixi/...j{ix/                       /ixiァ
                  レ’  jア                         /イ
71 이름없는 나그네 ID : 59a43182
2020-07-30 03:47:22
헥스코드로 한 것도 문제 없이 올라가고. 스포로 채색 덮어씌우는 것도 문제 없나. 스포나 clr 코드는 기능적으로 저쪽이랑 똑같네.
72 이름없는 나그네 ID : 9b57e9a3
2020-11-15 22:13:42
test